* 본 포스팅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docs를 번역한 내용으로, 번역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하단 링크를 참조 부탁드리며, 잘못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 )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en/latest/index.html

 

A Blockchain Platform for the Enterprise — hyperledger-fabricdocs master documentation

Docs » A Blockchain Platform for the Enterprise Edit on GitHub Built with Sphinx using a theme provided by Read the Docs.

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

스마트 컨트랙트 혹은 Fabric에서 "체인코드"라고 부르는 것은 신뢰할 수 있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능하여 동료 간 블록체인 및 기본 합의로부터 보안성/신뢰성을 획득합니다. 이는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입니다.

 

특히 플랫폼에 적용할 때 스마트 컨트랙트에 적용되는 세 가지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많은 스마트 컨트랙트는 네트워크에서 동시에 실행됩니다.
  • 이들은 동적으로 배포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에 누구든지)
  •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는 신뢰할 수 없고, 잠재적 악성일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부분 현존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은 합의 프로토콜인 order-execute 구조를 따릅니다.

  • 유효성을 검사하고 주문하는 트랜잭션은 모든 피어 노드에 트랜잭션을 전달합니다.
  • 각 피어는 트랜잭션을 순차적으로 실행합니다.

order-execute 구조는 Ethereum (PoW 기반 합의 방식) 과 같은 public/무허가형 플랫폼에서부터 Tendermint, Chain, Quorum과 같은 허가형 플랫폼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모든 기존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내에서 order-execute 구조로 동작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결정적이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비결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플랫폼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비표준 또는 도메인 특정 언어 (예, Solidity)로 작성하여 비결정적 작업을 제거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는 개발자가 새로운 계약을 통해 새로운 언어를 배우고 프로그래밍 오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채택될 수 없습니다.

 

또한, 모든 트랜잭션은 모든 노드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성능 및 규모가 제한됩니다. 시스템의 모든 노드에서 스마트 컨트랙트 코드가 실행된다는 사실은 전체 시스템의 탄력성을 보장하기 위해 잠재적인 악의적 계약으로부터 전체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복잡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요구합니다.

 

'● STUDY ● > Hyperled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poser Introduction  (0) 2019.07.08
Fabric New Approach  (0) 2019.07.07
Fabric Permissioned vs Permissionless Blockchains  (0) 2019.07.05
Fabric Modularity  (0) 2019.07.04
Hyperledger Fabric이란  (0) 2019.07.03

친구가 생긴 귀탱이

귀탱이를 구조했으나

고양이 지식이 0 아니 마이너스라

집 근처 고양이고수인

카페 사장님의 도움을 받습니다.

 

 

분유도 먹이고 냠냠냠

씻겨주고 뽀드득뽀드득

고수의 손길은 다르네요.

 

 

카페에 딱 귀탱이만한 냥이가

한 마리 살고 있었는데요.

이 냥이는 탯줄도 잘리지 않은채로 버려져서

사장님이 묻어주려다가 살려낸 냥이입니다.

 

 

락앤락통에 두마리가 들어가다니 ㅇ_ㅇ........

진짜 세상 태어나서

이렇게 작은 사이즈의 냥이는 처음보네요.

 

우리 냥이들 카페 인기스타가 됐네요.

카페 사장님의 손길을 받고 나니

눈망울이 초롱초롱

어제 배수구에 빠져있던 귀탱이 맞니!!!!

눈망울이 초롱초롱 ㅇ_ㅇ

주변 수의사 지인분의 도움을 받아

아가들을 확인한 결과

귀탱이가 뽀짝이보다 1주일? 정도

빠를 것 같다고 하시네요.

 

좋은 친구가 생겼습니다.

우리 아가들 친하게 지내면 좋겠네요~

막짤은 카페에서 집에 가기전 귀탱이 잠든 모습

+ 핑크젤리 사진!

집으로 가자 귀탱
핑크젤리는 보너스

* 본 포스팅은 하이퍼레저 패브릭 docs를 번역한 내용으로, 번역 과정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 내용은 하단 링크를 참조 부탁드리며, 잘못된 내용에 대한 피드백은 언제든 환영합니다 : )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en/latest/index.html

 

A Blockchain Platform for the Enterprise — hyperledger-fabricdocs master documentation

Docs » A Blockchain Platform for the Enterprise Edit on GitHub Built with Sphinx using a theme provided by Read the Docs.

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

무허가형 블록 체인에서는 거의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으며 모든 참가자는 익명입니다. 그런 맥락에서 블록체인의 상태가 불변이라는 것 외에 다른 어떤 신뢰도 존재할 수 없다. 이러한 신뢰의 부재를 완화하기 위해 무허가형 블록체인은 일반적으로 "작업 증명"(PoW)을 기반으로 한 비잔틴 fault tolerance 합의의 형태로 참여하는 특별한 비용을 상쇄하기위한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채굴된" 원시 암호화폐 또는 트랜잭션 수수료를 사용합니다.

 

반면에 허가형 블록체인은 일정 수준의 신뢰를 보장하는 거버넌스 모델 하에서 운영되는 알려진, 확인된, 그리고 종종 심사를 받는 참가자들 사이에서 블록체인을 운영합니다. 허가형 블록체인은 공통의 목표를 갖고 있지만 서로를 완전히 신뢰하지는 못 할 수도 있는 엔티티 그룹 간의 상호작용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허가형 블록체인은 참여자의 ID를 사용하여 보다 전통적인 CFT (crash fault telerant) 또는 BFT (byzantine fault tolerant)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값비싼 마이닝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또한, 이러한 허가형 문맥에서 참가자가 의도적으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악성코드를 도입할 위험이 줄어듭니다. 첫째, 참가자는 서로를 알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 제출, 네트워크 구성 수정 또는 스마트 계약 배포와 같은 모든 작업이 네트워크 및 관련 트랜잭션 유형에 대해 설정된 보증 정책에 따라 블록체인에 기록됩니다. 완전히 익명으로 처리되기 보다는 유죄가 입증된 당사자는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사건은 거버넌스 모델의 조건에 따라 처리됩니다.

'● STUDY ● > Hyperled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bric New Approach  (0) 2019.07.07
Fabric Smart Contracts  (0) 2019.07.06
Fabric Modularity  (0) 2019.07.04
Hyperledger Fabric이란  (0) 2019.07.03
Fabric Introduction  (0) 2019.07.02

+ Recent posts